본문 바로가기

Java/자바 기초

2. 변수

변수의 선언과 저장

변수란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이다.

 

- 변수를 사용하려면 먼저 변수를 선언해야 한다. ex) int age

- 변수를 선언하면 변수를 사용할 수 있지만, 그 전에 반드시 변수를 초기화 해야 한다.

  변수 초기화란 변수를 사용하기 전에 처음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. ex) int age = 25

변수의 타입

변수에 저장할 값의 종류에 따라 변수의 타입을 선택해야 한다.

 

기본형(Primitive Type) : 8가지

- 논리형(True or False) : boolean

- 문자형 : char(character)

- 정수형 : byte, short, int(integer), long

- 실수형 : float, double

 

참조형(Reference Type) : 기본형 이 외

상수와 리터럴

- 상수는 값을 한 번만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다.

- 변수의 타입 앞에 키워드 ‘final’을 붙여준다.

- 상수의 이름은 모두 대문자로 하는 것이 관례이다.

- 리터럴(literal)은 그 자체로 값인 것을 의미한다. ex) 100, ‘A’, true, “ABC”

리터럴의 타입과 접미사

리터럴에도 타입이 있다. 정수형과 실수형은 접미사를 통해 구분한다.

 

- long 타입 접미사: l(소문자 L) or L

  ex) long a = 100L

 

- float 타입 접미사: f or F

  ex) float a = 3.14f

 

- double 타입 접미사: d or D

  ex) double a = 3.14d

 

실수형에서는 double이 기본형이므로, 접미사 d or D는 생략 가능하지만, float 타입의 접미사 f or F는 생략 불가능하다.

문자열 결합

- 어떤 타입의 변수도 문자열과 덧셈 연산을 수행하면 그 결과는 반드시 문자열이 됩니다.

- 문자열 + any type → 문자열 + 문자열 → 문자열

- any type + 문자열 → 문자열 + 문자열 → 문자열

기본형과 참조형

- 기본형의 변수는 실제 값(data)를 저장합니다.

- 참조형의 변수는 값이 저장된 주소(memory address)를 저장합니다.

기본형의 종류와 범위

- boolean은 true와 false만 표현할 수 있으면 되므로 1byte입니다.

- char는 Java의 2byte 문자체계인 유니코드를 사용하고 이으므로 2byte입니다.

- 기본형 int(4byte)를 기준으로, 짧으면 short(2byte), 길면 long(8byte)입니다.

 

- 표현 범위

타입 간의 변환방법

- 숫자를 문자로 변환 - 숫자에 ‘0’을 더한다. (아래 ASCII 코드에 부연 설명)

  (char)(3 + ‘0’) → ‘3’

 

- 문자를 숫자로 변환 - 문자에서 ‘0’을 뺀다. (아래 ASCII 코드에 부연 설명)

  ‘3’ - ‘0’ → 3

 

-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 - 숫자에 빈 문자열(””)을 더한다.

  3 + “” → “3”

 

- 문자열을 숫자로 변호나 - Integer.parseInt() 또는 Double.parseDouble()을 사용한다.

  Double.parseDouble(”3.14”) → 3.14

  Integer.parseInt(”3”) → 3

 

- 문자열을 문자로 변환 - charAt(0)을 사용한다.

  “321”.charAt(0) → ‘3’

 

- 문자를 문자열로 변환 - 빈 문자열(””)을 더한다.

  ‘3’ + “” → “3”

ASCII 코드

- 컴퓨터는 0과 1 숫자 밖에 모르기 때문에 문자도 숫자로 기억한다. 이때, 어떤 숫자와 어떤 문자를 대응시키는가에 따라 여러 가지 인코딩 방식이 있는데 통상 ASCII 코드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.

- 아스키 코드(ASCII Table)는 0번부터 127번까지만 사용한다.

- (char)(3 + ‘0’) → ‘3’ 는 ‘0’이 ASCII 코드에서 48이므로

  (char)(3 + ‘0’) → (char)(3+48) → (char)(51) → ‘3’ 이 된다.

- ‘3’ - ‘0’ → 3 은 51 - 48 → 3 이 된다.

'Java > 자바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6.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I  (0) 2022.03.11
5. 배열  (0) 2022.03.11
4. 조건문과 반복문  (0) 2022.03.11
3. 연산자  (0) 2022.03.11
1. 자바를 시작하기 전에  (0) 2022.02.14